글로벌 경제 K의 공포, 산업별로 살아남거나 망하거나
잘 정리된 자료가 있어 가져왔습니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주변 사람들을 보면.
대기업, 공무원, IT 관련 지식산업 등에서 근무하는
재택 근무가 가능한 전문직의 경우 소득이 전혀 줄지 않았습니다.
온라인 판매 관련 기업들의 경우 매출은 더 증가했습니다.
실제 고객이나 지인 중 매출증가로 고민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세금,투자 등)
비단 자영업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 오프라인 매장 중심의 판매가
온라인으로 옮겨갔고, 도매점의 온라인 판매 진출
혹은 생산시설을 가진 공장이
'쿠팡'에 직판매를 하는 식으로 매출을 늘리고 있습니다.
제가 자주 구매하는 국내 중소기업 신발 '페이퍼플래인'도
쿠팡 직판매를 합니다.
(로켓배송)상품은 모두 쿠팡에서 공장 직 구매 후 발송합니다.
반면
현장에서 일할 수밖에 없는 직업은
필수 사업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줄었습니다.
특히 급여제가 아니라 판매 인센티브 형식의 직종은 폭망수준
살아남은 기업들도 문을 닫고 있습니다.
코로나는 치료제와 백신이 나와도
높은 전파성 때문에 2023년까지는 영향을 미칠것 같습니다.
미래를 보수적으로 잡고
버텨야 하는 사람은 지출을 조절해가며 버티고
여유 자산이 있는 사람은 변하는 산업에 맞춰
투자처를 재조정하는 등 변해야 하겠습니다.
ps.
분명, 불황인데 자산이 많이 늘어난 사람이 많습니다.
불경기인데 주가가 들썩거리고 있습니다.
'게임체인저'처럼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것을 감지하는데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래변화
--------------------------
일부 기술 대기업과 부유층·화이트칼라(재택근무 가능 사무직)는 급격히 회복됐지만 디지털 전환이 늦은 전통 기업과 중소기업·자영업자·빈곤층·블루칼라(대면 근무 노동자 계층)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K자 회복이 현실화됐다고 진단했다.
‘실직 충격’은 대부분 저소득·저학력 층에 국한된 얘기다. 미 노동부가 25세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졸 이상은 9월 기준 취업자 수가 코로나19 이전보다 0.2% 감소에 그쳤다. 반면 고졸 중퇴 이하는 18.3%나 급감했다. 소득 수준별 취업자 수도 마찬가지다. 리서치 업체 에버스코어ISI에 따르면 시급 28달러 초과 노동자는 8월 기준 취업자가 오히려 1.2% 늘었다. 이에 비해 시급 16달러 미만 노동자는 26.9% 줄었다. 미 정부가 3조 달러의 부양책을 쏟아붓고 Fed가 제로 금리(0)와 무제한에 가까운 돈 풀기에 나섰지만 저소득층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가난해졌다.
고소득층 노동자는 관리직 등 재택근무가 가능하거나 대기업 직원이 많아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했다. 이에 비해 저소득층은 대면 근무가 불가피하고 식당·숙박 시설 등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업종 종사자가 많아 피해가 컸다
글로벌 경제 ˙K의 공포˙…"디지털로 가거나, 망하거나"[주용석의 워싱턴인사이드]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xDYhOjIw
아래는 미국 상공회의소 K형 회복과 관련된 기사 원문입니다.
국내 기사에 인용하는 출처를 찾아보는 습관을 가지는것이 좋습니다.
외신 기사는 구글 크롬이나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를 통해
한글로 번역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미 상공회의소 기사내용중 섹터별 자료입니다.
-----------------------------
<가계부관련 시리즈 보기> - 아래 링크클릭
http://wpwsyn.tistory.com/315
01] <순자산 10억달성후 그간의 경험을 공유합니다. 시리즈>
02] <사교육없이 명품 육아하기 시리즈>
03] <통신비 지출 줄이기 시리즈>
04] <차량관리비 줄이기 시리즈>
05] <보험료 줄이기 시리즈>
06] <포장이사 똑똑하게 하기 시리즈>